본문 바로가기
주식

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H),TIGER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ETF 비교 소개

by 너구리보스 2022. 2. 19.

국내 상장 미국나스닥100 레버리지 ETF 2가지를 소개드립니다.

 

1. KODEX 미국나스닥100 레버리지(합성H) ETF

 

21.12월 9일 상장된 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H) ETF입니다.

 

2.18 기준으로 만원에서 시작한 뒤 현재가 7,470원입니다.

시초가 대비 -25% 수준인데 왜 소개하냐고 물어보신다면 가격이 정말 저가 매수하기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KODEX 미국나스닥100 레버리지

요즘 한국시장 미국 시장할 거 없이 러-우크라 전쟁위협에 미국 금리인상 등 여러 악재들이 있어 깊게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미국 나스닥100 지수가 우상향 할 것이라고 믿는다면 현재 가격은 저가매수로 들어가 볼 만한 위치가 아닌가 합니다.

 

때문에 수많은 ETF가 있지만 국내서 최초로 선보인 나스닥100 일간 수익률 2배 추정 ETF를 소개 시작하겠습니다.

 

1) 상품정보

 

국내에서 최초로 나스닥100지수의 일간 수익률 2배를 추정하는 ETF입니다.

-세계 경제를 이끄는 나스닥 2600개의 상장 기업 중 금융주를 제외하고 시가총액 상위 100개를 대표 종목으로 구성한 나스닥100지수의 레버지리(X2) 상품입니다.

 

즉, 나스닥100지수가 일간 1%상승시 KODEX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H)는 2% 상승 추구하며(반대로 일간 1% 하락 시에는 2% 내외 하락합니다)

 

 

2) 구성종목

 

기초지수 구성종목 10가지만 보신다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플랫폼, 테슬라 등으로 지수 내 비중은 상위 10 종목이 50% 정도에 달합니다.

기초지수 구성종목

 

3) 레버리지 ETF란?

 

선물과 옵션 등의 투자에 파생상품과 차입을 이용하는 ETF를 뜻한다.

 

ETF가 추종하고 있는 지수의 등락에 따라 1의 수익이나 손실을 입는다고 한다면 레버리지 ETF는 파생상품과 차입을 통해 추적지수의 변동폭보다 몇 배의 수익이나 손실을 거두도록 설계됩니다.

보통 주식시장의 상승기라고 판단할 때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수단으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하락장에서는 손실도 커져 고위험˙고수익 상품으로 분류됩니다.

 

글로만 이해하기는 어려움이 있죠?

그래서 아래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몇 가지 이해에 도움이 되는 표를 가져왔습니다.

나스닥 100지수, 1X지수, 2X지수 비교

위에 표는 나스닥100지수 레버리지 수익률 비교표입니다.

 

레버리지 전략은 하락장과 상승장 일 때 차이가 확연합니다.

 

위에 그림에서 보듯 상승장에서 2X ETF 수익률이 54.76%입니다. 복리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다음 아래 표는 코스닥 150 지수와 비교한 나스닥 100 지수의 성과 비교입니다.

나스닥100지수 VS 코스닥150 성과비교

왼쪽 표에 나온 우리나라 코스닥150지수를 보면 2010.10~2021.10까지 11년 동안 최고 58% 상승한 모습이 보입니다.

11년동안 58%면 정말 안 올라간 것이죠...

 

반대로 오른쪽 표에 나온 나스닥100 지수는 최고 726%까지 올라갔습니다. 그리고... 나스닥100레버리지지수는 놀랍게도 4294%입니다.

 

 

4)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H) ETF 장점

 

1)나스닥100지수의 일별 수익률X2배 추종 및 레버리지 투자로 복리효과 실현.

 

2) 한국시장 개장 시간에 실시간 매매 가능하며 미국 달러 환전 없이 미국 시장에 투자할 수 있음.

 

3) 보수료가 연 0.3%로 미국 시장에 상장된 ETF 대비 1/3 수준으로 저렴.

 

4) 환노출형 상품으로 원-달러 환율 변동에 노출되며 환율이 상승할 때 유리함.

 

 

5)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H) ETF 단점

 

1) 하락장에서 손실도 커져 고위험 상품.

 

2) 환헤지형 상품으로 금리인상으로 인한 달러 가치 상승 시 환노 출 상품에 비해 불리하며 주가 하락 시 환노 출 상품에 비해 하락폭이 높음.

 

 

똑같은 나스닥100 레버리지ETF 인데 환노출 상품이 2.22 상장됩니다.

 

 

 

2. TIGER 미국나스닥100 레버리지(합성) ETF

 

똑같은 나스닥100 레버리지ETF 인데 환노출 상품으로 2.22 상장됩니다.

TIGER 미국나스닥100 레버리지 ETF

 

 

이 상품은 앞에 소개드린 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H) ETF와 동일한 상품유형이나 환노출형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갖습니다.

나스닥100레버리지, 환노출 ,환헤지 비교

표에 나오는 수익률 비교우위를 보시면 환헤지보다  환노출이 월등히 많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있을까요?

지수가 하락국면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통상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달러가 안전자산이기 때문입니다.

 

즉. 환노출형 ETF의 경우 원달러 환율이 강세일 때 지수 하락의 방어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수익률에 우위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3. 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H)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 ETF 비교 

  기준 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 ETF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 ETF
상장일 21.12.9 22.2.22
거래통화 원화
거래시간 한국시장 개장시간(9:00~15:30)
수수료 없음 온라인0.014%, 오프라인0.49%
거래세  없음 없음
세금 배당소득세(15.4%)(금융소득종합과세시 합산대상)
총보수 0.3% 0.25%
한율 위험 환헤지 환노출
현재가 7470원(2.18기준) 10,000원 시작(2.22일)

 

 

둘 다 좋은 상품인데 한 가지만 고르라면 어떤 걸 택하시겠습니까?

 

환노출이 아무래도 금리인상이 예측되어 있는 현 상황에는 유리한 부분이 맞겠으나.. 가격적인 요소로는 현재 7천 원대에 매수할 수 있는 KODEX ETF가 매력적이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