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급락하는 증시시장, 원인과 대처방법/22.1.25마감동향분석

by 너구리보스 2022. 1. 25.

22.1월에 들어서 한국 증시가 가파르게 급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원인을 파악해보고 대처하는 자세에 대해 적어볼까 합니다.

 

오늘 금융위는 증시 급락에  "주식시장과 관련해 모니터링 단계를 한 단계 상향하려 한다"며 어제(1.24) 부로 주식시장 모니터링 단계를 주의로 진입하였다고 말했습니다. 

 

카카오 이모티콘 "살려주세요"

 

1. 22.1.5 마감 동향

 

오늘 코스피 마감은 아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2,720까지 밀려내려온 상태이고 코스닥 또한 900이 깨진 상황입니다.

 

코스피,코스닥 1.25장마감 차트

오늘도 참 많이 힘드셨죠?

요즘 시장에 진입한 분들이라면 거의 물리지 않은 개미는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개미 멘털이 박살이 나고 있는데요.

 

1.3일에만 하더라도 코스피는 3,000  코스닥은 1,040 정도를 유지하던 수준이었는데 이처럼 급락하게 된 원인은 무엇이며 투자자의 포지션은 어떻게 해야 될까요?

 

 

 

2. 한국시장이 급락하는 원인

 

1) 연준의 정책 변화_금리인상, 대차대조표(채권) 축소로 긴축

2) 인플레이션 자극_국제유가 , 에너지 가격 상승

2) 러시아발 우크라이나 전쟁 위협

4) 버블 놀란(주가가 너무 올랐다)

5) 신용 물량 많음(요즘 반대 매매되고 있는 신용물량이 많음)

6) 오미크론 우세종이 되면서 코로나 확진자 폭증

 

이 밖에도 많겠지만 저는 크게 6가지 정도로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3. 투자자의 자세 및 대응

 

이런 걱정거리가 많은 시장에서 투자자, 개미들은 어떤 자세로 시장을 지켜보고 대응해야 할까요?

 

기업이 속해 있는 시장이 성장하고 있고 계속 성장할 수 있는가? 물음에서 
YES라고 답할 수 있다면
우리는 
골이 깊어야 산이 높다는 명언을 기억하자!





저는 다 같이 어려운 장에서 정신적으로 피폐해지지 말고
잠시 끄고 때를 기다리자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때를 노려 공포에 저가매수, 분할 매수하는 야수의 심장을 가진 분들 많이 있을 텐데요.


아래 표를 보시면 고객예탁금이 다시 75조로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조정폭이 깊어 바닥이라고 판단하는 투자자들이 많이 생겨나는 모습으로 판단이 되고 재작년 코로나처럼 급락 후 반등을 기대하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이번 주 27일 FOMC 일정 이후 반등세가 나오길 기다려보며 오늘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