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시각 3.9일 장 마감 후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이 20대 1의 비율로 주식 분할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하였습니다. 또한 100억 달러(한화로 약 12조 3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도 발표했습니다.
아마존은 6월 3일 종가를 기준으로 액면 분할한 뒤 6월 6일부터 분할된 주식으로 거래가 이뤄집니다.
9일 종가 기준으로 분할된다고 가정할 때 아마존 1주 주가는 2785.58달러에서 139.28달러가 됩니다.
기존 주주들은 1주당 19주를 더 받게 됩니다.
그렇다면 액면분할은 무엇이고 왜 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어떤 영향을 끼치는 것일까요?
주식 용어 공부 #5. 액면분할
액면분할이란?
액면가를 낮추고 주식수를 늘리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5천 원에 주식수가 100만 주인 기업이 액면분할을 10대 1 비율로 한다면 액면가는 5백 원에 주식수는 1000만 주가 되는 것입니다.
액면분할을 통해 얻는 효과는"거래 활성화 효과"입니다
신규 매수 관점에서 볼 때 아마존이 한주에 300만 원에서 15만 원 정도에 살 수 있다고 한다면 할인된 느낌에 매매량이 늘어날 것입니다.
실제로 3.9일 공시 이후 아마존의 거래 차트를 보시면 다음과 같습니다.
3.10일부터 상승하면서 우상향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9일 종가 $2752.62에서 액면 발표 후 2.10일 오픈 시 $2915 시작하여 종가 $2913.84로 올랐습니다. 이후 조정이 있었지만 3.17일 오픈 후 $3062.08로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현재 시점의 가격으로 액면 분할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액면분할 전 1주 $3062.08
액면분할 후 20대 1 1주 $153.104
3.17일 환율 기준(원달러 1213원)으로 한주를 구매한다고 가정하면 153.104*1213원=185.715원이면 살 수 있습니다.
원래대로라면 1주를 사기 위해 370만 원 정도 필요한데 반해 굉장히 할인(?)한 느낌으로 싸졌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액면분할의 효과인 거래 활성화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3.10일부터 주가 부양 및 거래량 또한 증가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액면분할이나 주식병합은 기업가치에는 어떤 영향도 없습니다. 주식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주가 상승 측면으로는 아무래도 전보다 무거울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지만 상당한 거래량이 동반되고 시장에 관심이 집중되는 종목이라면 액면분할을 통해 더욱 주가 성장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가격이 내려가게 되면 아마존은 다우존스 지수 편입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미국 30개의 대표종목을 산술 평균한 지수로 미국 증권시장 동향과 시세를 알려 주는 뉴욕 증시 대표적인 주가지수입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편입된 30개 종목의 가격을 평균을 내는 방식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비싼 주식은 편입시키지 않습니다.
다우존스 지수에 편입하게 된다면 패시브 자금이 유입되기 때문에 주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예) 카카오 액면분할_21.4.15일
우리나라의 경우는 작년 카카오가 5대 1로 액면 분할하였습니다.
당시 카카오는 연일 상승세에서 액면분할 소식으로 사상 최고가를 갱신하였습니다.
액면분할 전 종가가 558,000원이었고 5대 1이 되어 4.15일 111,600원에서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가파르게 상승하여 최고가 173,000원까지 도달했었습니다.
558,000원에 10주를 샀던 사람은 50주가 되었고(111,600원*50주) 최고가(173,000원) 기준으로 55% 프로 상승하였으니
5,580,000원 투자하여 8,650,000원이라는 차익 3백만 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아마존의 액면분할 및 우리나라 카카오를 예를 들어 의미와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국채 10년물 3%대 돌파(미국 금리인상전망과 추경때문) (0) | 2022.03.28 |
---|---|
팔라듐 관련주, ETF추천(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관련 원자재주) (2) | 2022.03.23 |
초록뱀미디어 주식병합 공시_22.3.15 (0) | 2022.03.16 |
MSCI지수(러시아 MSCI퇴출˙ETF상폐위기) (0) | 2022.03.05 |
러시아 우크라이나 관련주(+침공이유) (1) | 2022.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