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1인 가구 가계부를 4년째 쓰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일, 월, 년으로 매주 주말이면 정리하고 있는데요.
요즘 국민 영수증을 보면서 가계부 쓰는 게 핫해진 거 같아서 소소하지만 제가 쓰는 가계부에 대해 간략히 소개드려볼까 합니다.
저는 우선 새해에 목표 저축금액을 첫 장에 쓰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그다음에 목표금액을 달성하기 위한 월 저축액을 정하고 그에 맞혀 소비를 통제하는 방식으로 월에 들어가는 고정지출, 변동지출 등의 기록하여 월 결산을 하는 방식입니다.

저는 어플을 쓰는 게 아니고 수기로 작성하는데요~
어플로도 해봤지만 눈에 안보이니까 안 하게 되더라고요. 종이책은 자꾸 보이는 곳에 둬서 보게 되고 써야겠다고 인식이 되기도 하고 1인 가구 가계부라서 간단히 종이 가계부를 쓰고 있습니다.
2022 가계부로도 같은 가계부를 쓰고 있는데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가계부들 보면 위에 사진처럼 비슷한 구성이기 때문에 편하게 구매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1인 가구 1월 지출 결산을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고정+변동지출 합계 : 1,931,910원
1) 고정지출
대분류 | 구분 | 항목 | 금액 | 총금액 |
고정지출 | 주거비 | 전세이자 | 40,000 | 480,000 |
자취용 월생활비 | 400,000 | |||
공과금 | 40,000 | |||
보험비 | 보험4개(장기,치아,자동차) | 230,000 | 230,000 | |
교통비 | 대중교통 | 60,000 | 60,000 | |
합계 | 770,000 |
월 고정 지출은 77만 원 정도 나오는 편입니다.
2) 변동지출
대분류 | 구분 | 항목 | 금액 | 총금액 |
변동지출 | 의료 | 치과 | 87,400 | 87,400 |
경조사 | 축의금 | 150,000 | 231,000 | |
81,000 | ||||
선물 | 생일,축하등 | 72,400 | 72,400 | |
쇼핑 | 소파구입 | 573,540 | 573,540 | |
식비 | 식비 | 164,570 | 164,570 | |
자동차 | 주유 | 33,000 | 33,000 | |
합계 | 1,161,910 |
이달은 소파 구입으로 지출이 크게 나왔습니다.
기존 소파는 너무 낡아 산다고 벼르고 벼르고 산거라... 예정된(?) 지출이었습니다.
2022 가계부 1월 지출에 대해 정리하자면,
저의 한 달 지출 예산은 120만 원입니다.
평소는 120만 원 내에서 소비하는 편인데.. 이달은 축의금이나 소파 구입으로 지출이 +70만 원 오버가 되었습니다 ㅠㅠ
준비 없이 큰 지출이라 반성의 시간을 가져야겠습니다 ㅠㅠ
그래도 다행히 1월은 기타 수익이 꽤 있어 투자도 추가로 하였으니 선방한 것으로 마무리할까 합니다.
2. 고정+변동 저축 : 2,800,000원
저축은 1:3의 비율로 저위험 자산(청약, 연금)과 고위험 자산(주식)으로 월 120씩 투자하고 있습니다.
대분류 | 구분 | 항목 | 금액 | 총금액 |
저축 | 고정저축 | 주책청약 | 100,000 | 300,000 |
개인연금 | 200,000 | |||
고정투자 | 주식 | 900,000 | 2,500,000 | |
변동투자 | 주식 | 1,600,000 | ||
합계 | 2.800,000 |
이달은 설 상여 및 연차 미사용 보상금까지 받아 변동 투자금으로 주식에 넣었습니다.
3. 2022.1월 결산 총 정리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로 1인 가구 가계부 작성하는 팁을 공유할께요~

1. 수기 가계부 추천!
-손글씨로 기록하고 잘 보이는 곳에 비치하면 보일 때마다 지출에 대한 반성과 자극이 됨.
2. 꾸준하게 작성하기!
-주말 아침 일주일치 지출내역을 가계부에 기록하기.
3. 신용카드 사용자라면 이체일 14일로 등록!
-14일 결제일로 하면 전월 1일~전월 말일까지 사용금액으로 결제가 되기 때문에 전월 결산이 쉬움.
4. 소비 적금 만들기!
-저처럼 소파 구매로 지출을 크게 만들기 않기 위해서 이벤트성 지출 목적으로 미리 저축하여 대비하기.
1인가구 가계부(2023년 상반기 결산/직장인/소비분석)↓↓↓↓↓
2023.08.22 - [일상] - 1인가구 가계부(2023년 상반기 결산/직장인/소비분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90년대생 국민연금 고갈(연금 고갈원인 및 연금 개혁방안) (0) | 2022.03.06 |
---|---|
현 러시아 경제 제재와 추가예상 및 우리나라 상황 (0) | 2022.03.06 |
2022 청년희망적금 신청자격요건/가입방법/혜택은? (0) | 2022.02.08 |
LOCA LIKIT 1.2 4종 비교 안내(MZ세대 맞춤/서브카드 추천) (0) | 2022.02.02 |
30대 적금 추천! 이율 높은 4가지 은행 상품 비교 (0) | 2022.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