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는 기업의 자산 및 수익을 통해 기업의 적정주가를 판단합니다.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인 PER, PBR 그리고 밴드 활용을 통해 회사의 주가가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를 확인하고, 주식을 매수할지 매도할지 판단하는 기준을 배워보겠습니다.
주식 용어 공부 #3. PER, PBR
1. PER이란?
PER은 수익과 주가를 통해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당기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누어 주당순이익(EPS)을 구하고 이를 주가에 나누면 PER가 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은 2021년 한 해 당기순이익이 100억이고 현재 발행주식수는 1천만 주, 현재 주가는 1만 원이다.
현재 시점으로 이 회사의 주가 수익비율(PER)은 얼마일까요?
따라서 이 회사의 주가 수익비율은 10배입니다. 그럼 10배가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 어떻게 판단하면 될까요?
이때 밴드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에 밴드를 해석하자면 젤 위에 보라 색선은 PER가 가장 높은 21.09배이고 젤 하단 민트 색선은 PER가 가장 낮은 6.35배라는 뜻입니다.
이를 통해 5년간( 2016.12월~ 2022.2월) 삼성전자의 PER는 6.35배~21.09배에서 움직였다는 것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우리가 봐야 될 선은 수정주가선입니다.
수정주가선이 최상단 보라색에 가까울수록 주가가 고평가이며
수정주가선이 최하단 민트색에 가까울수록 주가가 저평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동그라미 친 부분을 보시면 현재 노란색선(13.72배) 살짝 아래에 수정주가선이 위치한 걸 알 수 있습니다.
해석하자면 현재 주가는 2016년 대비 2배 정도인 8만 원이 좀 안 되는 가격이지만 밴드 평균~조금 아래 즉 조금 저렴한 위치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2. PBR이란?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비율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는 가치입니다.
순자산이라 함은 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를 말합니다.
즉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B기업의 총자산은 100억이다. 그중 부채는 40억이고 발행주식수 500만 주, 현재 주식은 1만 원이다.
현재 시점에서 B기업의 PBR은 얼마일까요?
따라서 이 회사의 주가순자산비율은 8.3배입니다. 그럼 8.3배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 어떻게 판단하면 될까요?
PER 밴드처럼 PBR도 밴드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에 밴드도 PER밴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5년간( 2016.12월~ 2022.2월) 삼성전자의 PBR는 1배~2.06배에서 움직였다는 것 확인할 수 있습니다.
PBR은 보통 '1'을 기준으로 설정해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를 판단합니다.
그리고 여기서도 우리가 눈여겨봐야 될 선은 수정주가선입니다.
수정주가선이 최상단 보라색에 가까울수록 주가가 고평가
수정주가선이 최하단 민트색에 가까울수록 주가가 저평가
빨간색 동그라미 친 부분을 보시면 현재 빨간색선(1.8배)에 위치한 걸 알 수 있습니다.
해석하자면 현재 주가는 PBR = '1' 접근법에 의해서는 고평가 되어있으며 과거 5년 치 데이터를 비교했을 때도 어느정도 높은 수준이라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1. PER 밴드는 주식의 추가 상승여력을 확인할 때
PBR 밴드는 주식의 바닥 여부를 확인할 때 활용하면 좋습니다.
2.PER 밴드, PBR 밴드 모두 밴드가 상향하고 있으면서 수정주가가 밴드 하단에 위치하면 매수 타이밍입니다.
3.PER는 보통 10배 이내가 좋고, PBR은 1배를 기준을 판단하면 저가매수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작가 TV 포함 도움 되는 주식/경제 유튜버 추천 1부 (0) | 2022.02.07 |
---|---|
급락하는 증시시장, 원인과 대처방법/22.1.25마감동향분석 (0) | 2022.01.25 |
기업의 펀더멘털(안정성,수익성,성장성)분석하기 (0) | 2022.01.23 |
22년 숏커버링이 기대되는 주식 추천! (0) | 2022.01.21 |
공매도 정의와 공매도거래 상위종목 (0) | 2022.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