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으로 요즘 국내 투자자들의 순매수 1~2위 다투는 반도체 ETF인 GLOBAL X SWMICONDUCTOR JAPAN ETF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GLOBAL X SWMICONDUCTOR JAPAN ETF(2644)
상장일: 2021년 9월 24일
시가총액: 17,953471,556(23.7.14일기준 한화 1646억)
환노출
기초지수: 일본 반도체지수
Yield연배당율: 0.98%
배당(1년에 2회)
보수료: 0.59%
운용사: 미래에셋(Global X)
올해들어 급등하고 있는 일본반도체 ETF입니다.
출시된 지 2년이 채 안 됐지만 23.1월부터 상승하여 연초대비 50%수준의 수익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23.7.14일 종가가격은 3,260엔(원화27,311원)입니다.
단기간 급등한 상태라 진입하기엔 위험성이 있어 보이지만
워낙 일본 반도체 투자 인기가 높아 약간의 조정 후 계속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위에 표를 보면 기본 매매단위를 100주로 해서 22.10.24일 1000엔(1주당 10엔) 과 23.4.24일에 1900엔(1주당 19엔)이 배당된 것이 확인됩니다.
년 2회 배당이긴 하지만 배당수익률 1%대로 낮은 편인입니다.
상위 10개 종목의 비중이 88.48%나 됩니다.
아래 종목들을 보면 앞전에 제가 소개한 TIger니케이225 ETF에서도 본 Advantest, Tokyo Electron, Shin-Etsu Chemical 가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Advantest (14.67%) : 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장비를 만드는 회사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음
2)Renesas Electronics (13.12%) : 차량용 반도체(MCU)및 각족 산업용 센서 제조 및 비메모리 반도체 제조기업
3)Disco (10.43%) : 후공정 장피(패키징) 제조업체, 그라인더 시장의 50% 이상 점유, HBM 수요 확대로 첨단 반도체 공정장비 수요 증가 수혜 예상
4)Hoya (9,61%) : 일본의 대표 광학기기회사로 렌즈에 독보적인 실력을 가지고 있음, 블랭크 마스크 제조업체
5)Tokyo Electron (9.54%) : 전자기기 및 글로벌3위 반도체 장비생산
6)Shin-Etsu Chemical (9.47%) :염화 비닐과 반도체 소재 실리콘 웨이퍼 세계 2위 점유율 30%
7)Asahi Kasei (6.39%) : 자동차 관련 소재 및 반도체 그리고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제조
8)Lasertec (6.14%) : 극자외선 노광공정에서 Blank EUV masks의 결합을검사하는장비 개발
9)Rohm (5.84%) : 반도체, 통합회로, 기타 전자부품 설계 및 제조
10)Screen Holdings (3.27%) : 반도체 제조장치와 액정 제조장치 생산
구성종목들 모두 반도체 어벤저스를 보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일본 반도체의 전망은 어떨까요?
생성 AI출현과 유행으로 인해서 일본 후공정 반도체 제조회사들이 앞으로 수혜를 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금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챗GPT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에서 두뇌역할을 하는 것은 CPU입니다.
엔비디아가 AI용 CPU시장의 90% 점유율을 가지고 있고 전 세계 수요증가로 공급이 부족해 부르는 게 값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공급을 좌지우지하는 건 엔비디아가 아니라 TSMC입니다.
TSMC가 글로벌파운드리 1위로 챗GPT용 CPU로 유명한 제품A100과 H100를 전량 제조하고 이 때문에 엔비디아보다 TSMC가 AI시장의 갑이라고 보는 이유입니다.
갑이 된 가장 주요한 원인은 TSMC가 자체 개발한 패키징 기술 'CoWos(Chip on Wafer on Substrate)'때문입니다.
많은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AI용 칩은 기술적 난이도가 매우 높아 첨단 패키징 기술이 필요합니다.
TSMC의 고급 패키징 기술인 CoWoS 주문이 연초대비 50% 이상 상승하였고 이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선
최첨단의 반도체 기판과 소재를 써야 하기 때문에 최첨단 후공정 반도체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일본 반도체가 각광받고 있는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생성 AI와 공동운명체인 일본 후공정 반도체 ETF는 현재가격도 매력이 있으나
단기간 상승이 높았기 때문에 조정을 줄 때 분할 매수하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움증권 대체출고(각 증권사 대체출고 수수료체크) (0) | 2023.07.25 |
---|---|
증권사 환전수수료 비교(NH투자 VS 키움) (0) | 2023.07.22 |
일본ETF 추천시리즈(1) (0) | 2023.07.11 |
일본주식 사는법? 투자방법은? (0) | 2023.07.10 |
엔화약세 지속 일본증시 투자 방향은? (0) | 2023.07.05 |
댓글